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한국의 **퓨리오사AI(FuriosaAI)**는 AI 반도체 설계 분야에서 글로벌 주목을 받는 스타트업입니다. 2017년 설립된 이래 독창적인 기술력과 효율적인 AI 칩으로 NVIDIA의 대안으로 떠오르며, 메타(Meta)의 1조 원대 인수 제안을 거절한 사례로 화제가 됐죠. 이 글에서는 퓨리오사AI의 설립 배경, 주요 제품(RNGD 칩), 기술 혁신, 투자 현황, 그리고 미래 비전을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한국의 ‘엔비디아’를 꿈꾸는 이 기업, 지금부터 깊이 파헤쳐볼게요!
1. 퓨리오사AI란? 회사 개요
퓨리오사AI는 서울에 본사를 둔 팹리스(fabless) 반도체 스타트업으로, AI 추론(Inference)과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위한 고효율 데이터센터 가속기(AI Accelerator)를 설계합니다.
2017년 삼성전자 및 AMD 출신 엔지니어 백준호(June Paik) 대표가 설립했으며, AI 칩 시장에서 에너지 효율성과 비용 경쟁력을 강점으로 내세웁니다.
-
설립 연도: 2017년
-
본사: 서울특별시 강남구
-
직원 수: 약 150명 (2025년 기준, 90% 이상이 개발자)
-
핵심 분야: AI 추론 칩, 데이터센터 가속기, 텐서 컨트랙션 프로세서(TCP) 아키텍처
-
주요 제품: 1세대 Warboy, 2세대 RNGD(레니게이드)
-
기업 가치: 약 1조 원 (2024년 기준 추정)
퓨리오사AI는 NVIDIA의 H100 GPU 대비 절반 가격, 4분의 1 전력 소모로 비슷한 성능을 제공하며, 글로벌 AI 칩 시장에서 독립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비전을 추구합니다.
2. 퓨리오사AI의 설립 배경과 비전
설립 배경
퓨리오사AI는 백준호 대표와 삼성전자, 구글, 퀄컴 출신 엔지니어들이 모여 시작했습니다. AI 칩 시장이 NVIDIA 중심으로 독점화되자, 저비용·고효율 대안을 만들자는 목표로 2017년 창업했습니다.
백 대표는 “NVIDIA의 독점은 영원할 수 없다”며, AI 추론에 최적화된 칩으로 시장 판도를 바꾸겠다는 포부를 밝혔죠.
비전
-
효율성 혁신: 전력 소모를 획기적으로 줄인 AI 칩으로 데이터센터 운영비 절감.
-
글로벌 확장: 미국, 일본,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등 주요 시장 진출.
-
독립 생태계: NVIDIA 의존도를 낮추고, 오픈소스 친화적 소프트웨어 스택 제공.
-
한국 기술 성장: 국내 AI 반도체 산업의 글로벌 위상 강화, IPO(기업공개) 목표.
2025년, 퓨리오사AI는 메타의 1조 원(8억 달러) 인수 제안을 거절하며 독립 성장을 선택, 한국 기술의 자립 의지를 보여줬습니다.
3. 퓨리오사AI의 핵심 기술과 제품
퓨리오사AI는 텐서 컨트랙션 프로세서(TCP, Tensor Contraction Processor)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AI 추론에 특화된 칩을 개발합니다. 기존 행렬 곱셈(Matmul) 중심 설계와 달리, 텐서 연산을 통합적으로 처리해 성능과 효율성을 극대화하죠.
주요 제품
-
1세대 칩: Warboy (2021년)
-
데이터센터 AI 추론용 첫 칩.
-
MLPerf 벤치마크에서 NVIDIA 대비 113% 향상된 성능 기록.
-
소규모 예산(600만 달러)으로 개발, 초기 가능성 증명.
-
-
2세대 칩: RNGD (레니게이드, 2024년 공개)
-
특징:
-
전력 효율: 150W TDP(열설계전력), NVIDIA H100(350~1,200W) 대비 3배 효율.
-
성능: H100의 50% 성능, 가격은 약 1만 달러(추정, H100은 4만 달러).
-
제조: TSMC 5나노 공정, SK하이닉스 HBM3 메모리 탑재.
-
-
용도: 대규모 언어 모델(예: Meta Llama 2/3), 멀티모달 AI 추론.
-
현황: 2025년 하반기 양산 예정, LG AI Research, Aramco와 테스트 완료.
-
소프트웨어 스택
-
퓨리오사 SDK: 개발자 친화적 인터페이스로 모델 최적화 지원.
-
컴파일러: 텐서 형태에 따라 하드웨어 자원 동적 배분, 병렬 처리 극대화.
-
호환성: Hugging Face, PyTorch 등 오픈소스 생태계와 통합.
퓨리오사AI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통합 설계를 통해 개발자 접근성과 운영 효율성을 동시에 잡았습니다.
4. 퓨리오사AI의 투자 및 파트너십
투자 현황
퓨리오사AI는 2017년 설립 이후 총 **1억 2,400만 달러(약 1,700억 원)**를 투자받았으며, 2025년 4월 기준 기업 가치는 약 1조 원으로 평가됩니다.
주요 투자 라운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
-
초기 투자: 네이버, DSC인베스트먼트, 한국산업은행.
-
2024년: CRIT Ventures에서 20억 원 추가 유치.
-
2025년 계획: 시리즈 C 펀딩 마무리, IPO준비중.
IPO(Initial Public Offering)는 기업공개를 뜻하는 용어로, 비상장 기업이 주식을 증권시장에 상장하는 것을 말합니다. 국내에서는 흔히 '상장'이라고 합니다.
글로벌 파트너십
-
TSMC: RNGD 칩 5나노 공정 제조 협력.
-
SK하이닉스: HBM3 메모리 공급.
-
LG AI Research: RNGD 칩 AI 인프라 적용 테스트.
-
Aramco: 2024년 9월 MOU 체결, 사우디 시장 진출 발판.
-
Hugging Face, Kakao: 2022년 생태계 파트너십, 공공·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배포.
특히 사우디 Aramco와의 협력은 퓨리오사AI의 글로벌 영향력을 보여주며, 2025년 1분기 첫 고객 주문이 기대됩니다.
함께보면 좋은글(퓨리오사AI 상장 가능성과 투자 방법)
5. 퓨리오사AI와 메타 인수 논란
2025년 초, 메타는 퓨리오사AI를 **8억 달러(약 1조 2,000억 원)**에 인수하려 했으나, 퓨리오사AI는 이를 거절했습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독립 성장 의지: 백준호 대표는 “한국 기술을 한국에서 키우겠다”며 장기 비전을 강조.
-
전략 차이: 메타와의 인수 후 사업 방향 및 조직 구조 조율 실패.
-
자체 경쟁력: RNGD 칩의 상용화와 글로벌 수요 증가로 독립 가능성 확신.
이 결정은 한국 AI 생태계에 큰 메시지를 던졌으며, 퓨리오사AI는 추가 자금 조달과 IPO를 통해 독립 성장을 가속화할 계획입니다.
6. 퓨리오사AI의 경쟁력과 시장 위치
경쟁력
-
에너지 효율: RNGD 칩은 150W로 NVIDIA H100(350W1,200W) 대비 전력 소모 1/3~1/8수준.
-
비용 효율: 시스템 구축 비용이 NVIDIA의 50% 수준, 데이터센터 운영비 절감.
-
유연성: TCP 아키텍처로 다양한 AI 모델(Llama, 멀티모달) 지원.
-
소프트웨어 생태계: 오픈소스 호환 컴파일러로 개발자 진입 장벽 낮춤.
시장 위치
-
국내: SK하이닉스와 합병한 Rebellions(국내 첫 AI 칩 유니콘)과 함께 한국 AI 반도체 선두주자.
-
글로벌: NVIDIA, AMD, Groq, Cerebras와 경쟁, 특히 추론 칩 시장에서 틈새 공략.
-
성장 가능성: 2025년 AI 칩 시장은 2,000억 달러 이상으로 전망, 퓨리오사AI는 효율성으로 차별화.
7. 퓨리오사AI의 도전과제와 미래 전망
도전과제
-
시장 경쟁: NVIDIA의 80% 점유율 속에서 브랜드 인지도와 고객 확보 필요.
-
자금력: 메타 인수 거절 후 대규모 자금 조달과 양산 비용 부담.
-
인재 유지: 글로벌 기업과의 인재 유출 경쟁 심화.
미래 전망
-
2025년 하반기: RNGD 칩 양산 시작, 미국·아시아 주요 고객 확보 목표.
-
IPO 준비: 시리즈 C 펀딩 후 2026~2027년 IPO 가능성.
-
글로벌 시장: 사우디, 일본, 인도 등으로 시장 확대, TSMC와 협력 강화.
-
산업 영향: 한국 AI 반도체 생태계의 선두주자로, 정부 지원과 민간 투자 기대.
퓨리오사AI는 “AI 칩 시장의 테슬라”가 되겠다는 포부로, 효율성과 혁신을 무기로 글로벌 무대에 도전합니다.
8. 자주 묻는 질문 (FAQ)
Q: 퓨리오사AI 칩은 어떤 용도로 쓰이나요?
A: 데이터센터에서 대규모 언어 모델(LLM)과 멀티모달 AI 추론에 사용되며, 전력과 비용 효율성이 강점입니다.
A: 데이터센터에서 대규모 언어 모델(LLM)과 멀티모달 AI 추론에 사용되며, 전력과 비용 효율성이 강점입니다.
Q: 메타 인수를 왜 거절했나요?
A: 독립 성장과 한국 기술 자립을 우선시했으며, 사업 전략 차이로 협상이 결렬됐습니다.
A: 독립 성장과 한국 기술 자립을 우선시했으며, 사업 전략 차이로 협상이 결렬됐습니다.
Q: RNGD 칩은 언제 출시되나요?
A- A: 2025년 하반기 양산 예정이며, LG AI Research 등에서 테스트 완료.
A- A: 2025년 하반기 양산 예정이며, LG AI Research 등에서 테스트 완료.
마무리
퓨리오사AI는 한국 AI 반도체 산업의 자부심이자, 글로벌 시장에서 NVIDIA와 어깨를 나란히 할 잠재력을 가진 스타트업입니다. 2025년 RNGD 칩 양산과 IPO를 앞두고, 이 기업의 행보는 한국 기술의 미래를 보여줍니다.
반응형